✅ 입찰 과 매도 스프레드(Bid-Ask Spread)란?
**입찰가(Bid)**는 매수자가 기꺼이 사려는 가격,
**매도가(Ask)**는 매도자가 판매하려는 가격을 의미합니다.
📌 Bid-Ask Spread = 매도가(Ask) - 입찰가(Bid)
💡 스프레드의 의미
- 스프레드가 작을수록(좁을수록) → 유동성이 높고 거래 비용이 낮음 (예: 외환시장)
- 스프레드가 클수록(넓을수록) → 유동성이 낮고 거래 비용이 높음 (예: 소형주, 가상자산)
예시:
- A 주식의 입찰가(Bid) = 10,000원
- A 주식의 매도가(Ask) = 10,050원
- Bid-Ask Spread = 10,050원 - 10,000원 = 50원
✅ 슬리피지(Slippage)란?
슬리피지는 주문을 실행할 때 기대한 가격과 실제 체결된 가격 간의 차이를 말합니다.
📌 슬리피지 = 예상 가격 - 실제 체결 가격
💡 슬리피지 발생 원인
- 시장 변동성: 급격한 가격 변동으로 인해 주문 실행 시 가격이 달라짐
- 유동성 부족: 원하는 가격에 거래할 상대가 부족하여 다른 가격에 체결됨
- 시장 주문 사용: 시장가 주문을 넣으면 즉시 체결되지만, 최적의 가격이 아닐 수도 있음
예시:
- A 주식을 10,000원에 매수하려고 했지만, 시장 변동으로 10,020원에 체결됨
- 슬리피지 = 10,020원 - 10,000원 = 20원
✅ 입찰-매도 스프레드와 슬리피지의 차이점
구분입찰-매도 스프레드 (Bid-Ask Spread)슬리피지 (Slippage)
개념 | 매수·매도 호가 차이 | 주문 체결 시 예상 가격과 실제 가격 차이 |
원인 | 유동성, 시장 구조 | 변동성, 유동성 부족, 시장 주문 |
영향 | 거래 비용 증가 | 예상보다 불리한 가격 체결 |
해결 방법 | 지정가 주문, 유동성 높은 시장 거래 | 지정가 주문, 변동성 낮을 때 거래 |
즉, 스프레드는 거래 전 발생하는 비용의 개념이고, 슬리피지는 거래 중 발생하는 가격 차이입니다.
'비트코인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빗썸] 용돈벌기 쿠키 다오(Cookie) 거래하고 쿠키 에어드랍 받자 (0) | 2025.02.10 |
---|---|
[코인거래소] TST, TRUMP, DOGE, PEPE 등 최신 밈 코인 거래 하기 (2) | 2025.02.09 |
[MEME] TRUMP 밈 코인이란? (1) | 2025.02.09 |
[투자 심리학] 시장 사이클의 심리학이란 (0) | 2025.02.09 |
[BSC/TST] 수백배 오른 바이낸스 Wallet TST 토큰이란? (0) | 2025.02.09 |